구절초(국화과)
속명 : 고호. 고봉. 창다구이. 들국화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산기슭 및 길가의 초원
개화기 : 9 - 10 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10 - 11 월
높이 : 50cm 안팎
특징 : 땅속 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9월 9일에 채집해야 약효가 좋다 하여 구절초라 한다.
용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효능 : 건위.보익.강장.정혈.식욕촉진.중풍.신경통.부인병. 보온등의 약으로 쓴다.
<종 류>
- 산구절초
각지의 높은 산에서 많이 자라고 대개는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높이 10 - 60cm 이며 8 - 9 월에 흰색 꽃이 피고 10월에 씨가 익는다.
- 바위구절초
백두산의 고원지 및 고산 지대에 자생하는 고산 식물이다.
높이 20cm 안팎으로 8 - 9 월에 흰색, 연한 자주색, 연한 붉은색 꽃이 피고 10월에 씨가 익는다.
<구절초의 효능>
예로부터 가을에 구절초의 풀 전체를 꽃이 달린 채로 말린 후 달여 복용하면 부인병에 보온용으로 탁월한 효과가 있다 하여 약이름으로 선모초라 지어졌다. <약용식물사전> 9월 9일에 이 풀을 채취하여 엮어서 매달아 두고 여인의 손발이 차거나 산후 냉기가 있을 때에 달여 마시는 상비약으로 써 왔다. 또 꽃을 말려서 술에 적당히 넣고 약 1개월이 지난 후에 먹으면 은은한 국향과 더불어 강장제. 식욕촉진제가 된다고 하였다.<약용식물사전>
1. 홀몬작용 촉진으로 힘이 나고 젊고 정력이 넘치게 한다. 2. 마약을 대신할 만큼 진통 소염작용이 강하나 내성은 없다. 3. 정혈작용이 강해 혈압을 안정시켜 준다. 4. 소화를 돕고 위장을 편안하고 튼튼하게 한다. 5. 기관지염 후두염 인후염 만성기침 감기에 탁월하다. 6. 정신적 안정과 두통 탈모예방에 좋다. 7. 만병의 근원 냉증을 치료하며 소음 태음체질에 좋다. 구절초 먹고 감기예방을 경험해 보자. 8. 구절초에 반드시 국내산 감초를 넣는다면 더욱 좋아진다. 구절초에 감초를 5:1로 넣어보자. - 독감이 오면 이가 흔들리고 솟구쳐 씹기 어려운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인후 후두통을 다스려 목을 편하게 한다. - 상처에 쑥을 찧어 발라 나은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구절초는 독감 바이러스를 약화 내지는 살균하는 대증요법에 적합하다. - 감기환자는 평소보다 비타민C를 수십 배 필요로 한다. 독감균과 약에서 독성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구절초에 들어가는 감초는 탁월한 해독제이다. - 독감에 걸리면 몸의 기능이 냉해지면서 마비상태가 된다. 이 때 구절초는 덥게 하여 활발하게 해 준다.
<먹는방법>
월경불순, 대하증, 뱃속이 냉할때는 9월에 채집해서 바람이 잘통하는 서늘한곳에 말린 구절초를 차를 끓여마신다. 구절초 줄기 20그램을 물 700CC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때까지 달여 하루 수차례를 수시로 차처럼 마시면 된다. 차로 드실 때는 꽃을 이용하는데 한 잔에 꽃 2개 정도 4회쯤 우려 마실 수 있다. 한방에서 구절초는 부인병·보온에 특효가 있다. 특히 월경장애에 효과가 있다. 꽃은 술을 담그거나, 말려서 베개 속에 넣으면 두통이나 탈모에 효과가 있고, 머리칼이 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어린 싹은 나물로 무쳐 먹고, 잎은 찜을 찔 때 넣으면 향기를 내 준다. |
'야생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구리 잠자는 모습 포착 (0) | 2009.10.08 |
---|---|
[스크랩] 환삼덩쿨(며느리밑씻기)의 놀라운 효능 (0) | 2009.10.06 |
[스크랩] 건강식품 정력 식품으로 인기있는 산수유 재배 (0) | 2009.10.06 |
[스크랩] 엄마를 상대로 임상실험에 돌입~ (0) | 2009.09.28 |
루피너스와 혼합 하늘매발톱 (0) | 200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