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수능국사 tip-사건과 사건의 연결고리를 잘 이해해야

하늘매발톱 2010. 4. 14. 14:22

 

국사를 선택하여 수능시험에 응시하려는 학생들에게 '국사를 왜 선택했느냐'고 물어보면 대개 두 가지 답이 나온다. 하나는 '서울대를 가려고'이고 또 하나는 '재미있어서'다.
그런데 그 선택 이유야 무엇이든지 간에 시험 성적에서 차이는 난다. 모든 과목에서 학생들은 필연적으로 점수 차이가 날 수밖에 없지만 국사에서 점수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일지 오랫동안 고민했다. 그리고 이는 학생들의 학습 방법에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정확한 조사 연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오랜 교직 경험을 통해 결론을 내린 것이지만 이를 통해 국사를 공부하는 학습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첫째, 국사 점수가 자신이 학습한 것보다 결과적으로 잘 나오지 않는 학생을 보자. 이런 경우 학생들은 학습 방법에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이들은 역사를 재미있어 하기 때문에 잡다한 상식은 많이 알고 있지만 시험과 관계되는, 고교 국사 학습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상식에는 전력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가르친 한 학생은 한국사능력시험 1급을 획득했고 모든 시대의 왕들 이름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 국사 수능시험은 3ㆍ4등급에 머물렀다. 이는 국사를 통해 상식을 배우기는 하지만 시험에 대한 대비는 별개의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다.
둘째, 국사 성적이 거의 항상 상위권에 있는 학생을 보자. 이들은 필요한 요소에 대한 개념을 우선 확실히 잡고 있다. 잡다한 상식은 부족할지 몰라도 고교 국사 교과서에서 중요한 왕과 개념,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주제와 핵심적인 요소들은 어떤 다른 학생들보다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사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무엇이고,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역사는 기록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다. 나아가 여러 사건을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배열할 줄 알며 그것에서 자신의 역사적 관점과 사고력을 정립해 나가는 것이다. 고교 국사 학습에서 핵심은 시대 감각과 시대 속에서 주요 사건(역사적 사실뿐 아니라 교과서에 기록되어 있는 역사적 의의까지)을 아는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국사와 한국근현대사라는 과목의 큰 흐름부터 알자. 백지 위에 시대를 나열해 보고 시대별 국가와 그 안에서 주요한 사건을 나열해 보자. 그러면 자신의 실력을 대번에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시대별로 주요한 개념과 사건을 찾아 보자. 위에서 얘기한 것처럼 주요 사건과 주제는 반드시 정리해 두자. 이는 모든 국사 선생님들이 수업 중에 강조하는 내용들이고, 어떠한 문제집에도 동일하게 반복되는 내용이다. 이러한 것은 반드시 알아야 한다. 수학에서는 공식을 몰라도 풀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역사적 사실은 모르면 그것으로 끝이다.
셋째, 암기하지 않는 이해는 공허하고, 이해하지 않은 암기는 의미가 없다. 요즈음 역사를 가르치는 선생님들 중에서 역사가 암기 과목이라고 하는 사람은 없다. 역사는 이해 과목이다. 사건과 사건의 연결 고리를 잘 이해해야 한다. 하지만 또한 암기 과목이기도 하다. 암기하지 않으면 풀 수 없는 문제들이 있으므로 반드시 외워야 할 것은 외워야 한다.
최근 국사와 한국근현대사 문제는 세밀해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조선의 비변사를 역할만 묻는 게 아니라 비변사의 구성원까지 묻는다. 어떤 직책까지 비변사의 구성원이 되는지를 묻는다. 잘 생각해 보면 비변사는 기존에 끊임없이 강조됐던 주제다. 그렇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이 우선이고, 교과서 안에서 그와 관련된 사실들 또한 모두 알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국사와 한국근현대사를 공부하면 반드시 성적은 나온다. 적어도 자신이 공부한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모든 사실을 다 알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자. 중요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 알아야 한다며 그 사실에만 몰두한다면 당장 상식은 쌓일지 모르지만 시험 성적은 오르지 않는다. 대신 핵심적인 사실을 찾아서 그러한 핵심 요소를 반드시 알고 그 사실에 대해서 깊이 이해해 나가는 식으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자.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김종권 강남구청 인터넷수능방송 사회탐구영역 강사]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